유유상종 類類相從 이야기 입니다
오늘은 사자성어로 유유상종(類類相從)이야기를
올리겠습니다. 공자에 관한 이야기 이니
유유상종에 관한 이야기 재미있게 읽어 보시고
오늘 하루 잘 마무리하시고 퇴근들 하세요!!
유유상종(類類相從) 이야기
여러 나라를 떠돌아가니며 방랑자 생활을 하던
공자가 아차 하는 실수를 저질렀다. 그가 타고
다이던 말이 농부의 밭으로 들러가 농작물을 망쳐
버린 것이다. 이에 화가 난 농부가 아무 말도 하지
않고 그 말을 끌고 가버렸다.
'공자가 제자들에게 물었다'
'누가 가서 말을 되찾아 오겠느냐?"
'제가 가서 찾아오겠습니다'
평소에 말주변이 좋다는 제자 자공이 선뜻 나셨다
그러나 마부도 함께 나서서 말했다.
'아닙니다. 이 일은 제가 말을 잘 지키디 못해서
생긴 일이므로 제가 찾아 오겠습니다.'
'그래도 자공이 가는 것이 좋을 것이다'
공자의 이 말에 자공이 어깨를 으쓱이며 농부에게 다가갔다
.그런데 자공아 아무리 입이 닳도록 빌고 설득해도 농부가
말을 되돌려 주지 않는 것이었다. 그렇다고 농부의 손에
잡혀 있는 말고삐를 강제로 빼앗아 올 수도 없는 일이어서
자공은 맥빠진 모슴으로 그양 되돌아왔다.
이번에는 마부를 내보냈다. 마부가 웃으며 다가가 농부에게
말했다. '당신이나 나난 다같은 농부가 아니오? 내가
깜빡 조는 사이에 말이 밭으로 들어갔으니 이해 하시구려'
마무의 이 말에 농부가 허허 웃더리, 군말 없이 말을
되돌려 주었다.
유유상조이라 하여 사람들은 같은 무리끼리 어울리는
경향이 있다. 서로 동병상련의 감정을 느껴 쉽게 동정하고
이해하고 공감하기 때문이다. 이 경우에도 선비인 자공보다
배우지 못한 마부가 더 쉽게 문제를 해결할 수 있었던 것도
바로 그런 이유에서 였다. 자공이 마부와 똑같은 말을 해도
농부는 그 부타거을 들어주지 않았을 것이다. 자공의 선비
복장과 말투에서 농부는 이미 거부감을 느끼기 때문이다.
그렇다면 공자는 왜 처름부터 마부를 보내지 않고, 자공을
보냈을까? 공자가 마부를 먼저 보내면 자공은 속으로
불만을 품었을 것이다. 자기도 그 정도의 일은 쉽게 해결
할 수 있다는 자만에 서운한 감정을 품을 것이다. 공자는
자공이 실패함으로써 자신의 능력에도 한계가 있다는
사실을 알게 했고, 또한 상대에 따라 사람마다의 역할이
따로 있다는 것을 가르쳤던 것이다.
많이 배웟다고 세상 일이 뜻대로 풀리는 것은 결코
아니다. 마음 속의 교만을 없애야 하는 것은 기본이고
다양한 사람들과 어우릴 때 만사가 보다 쉽게 해결된다.
-오늘의 고사성어-